|
graphic API 종류
- immediate mode API(직접실행모드, 즉시모드)
- retained-mode API(유지모드)
WebGL와 canvas는 immediate-mode API이고, svg는 retained-mode이다.
Immediate-Mode API
즉시모드에서는 화면 변경에 상관없이 각 프레임마다 전체 장면을 다시 그린다. API를 제공하는 그래픽 라이브러리는 그려야 하는 scene의 모델을 저장하지 않는다. 대신에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표현이 필요할 때 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높은 유연성과 컨트롤이 가능하다. 하지만 화면 모델의 추적이나 초기화, cleanup을 할 때 많은 작업을 요구한다. (개발자가 새프레임이 필요할 때마다 전체 장면의 그리기 명령을 다시 호출)
Retained-Mode API
유지모드 API를 제공하는 그래픽 라이브러리는 그려야하는 모든 객체의 scene graph나 내부 모델을 유지한다. 어플리케이션이 API를 호출하면, 수정된 내부 모델과 라이브러리는 화면에 언제 그릴지 결정할 수 있다. 이것은 모든 프레임의 화면을 그릴 때 그리기명령 매번 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. 유지모드 API는 그래픽 라이브러리가 당신을 위한 작업을 하기때문에 작업이 쉬어진다는 의미이다.
'개발 > WebGL | Canva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hreejs] material (0) | 2016.08.14 |
---|---|
[three.js] light (0) | 2016.08.14 |
[three.js] camera (0) | 2016.08.14 |
[three.js] scene, camera, renderer (0) | 2016.08.12 |
[WebGL] WebGL 개발 입문 (0) | 2016.08.04 |